k8s에서 가장 까다로운 부분 중 하나는 네트워크라고 생각한다. 이미 구글링 하면 여러 다른 사이트에서 이 글보다 훨씬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준 글들이 많다. 그래서 나는 굳이 모든 통신의 경우를 다 정리하진 않는 대신, pod-to-service의 통신과정과 실제 환경에서 룰을 확인해볼 것이다. pod-to-service를 알면 그 밑단의 pod-to-pod 혹은 다른 노드 간의 pod-to-pod 통신도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. 구조 위 그림은 node X의 pod A가 service를 통해 node Y의 pod B로 통신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. 이 시나리오에 따라 차례차례 설명하도록 하겠다. ① pod A가 DNS 서비스로 콜 pod A가 서비스(DNS)로 콜을 보내면, 각 컨테이너의 /e..